본문 바로가기
  • 먹거리 정보
  • 생활정보
안녕정보

췌장 신경내분비종양(D37.7 D13.7) 진단일때 해석

by 안녕이네 2023. 10. 12.

췌장 신경내분비종양으로 진단을 받았다면 위험한 것일까?

췌장암과 다른 것일까?

췌장 신경내분비종양 진단일 경우 자세한 해석과 상황에 따른 대응 방법에 대해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신경내분비종양은 직장에 있는 유암종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신경내분비종양에 의한 진단은 여러가지의 경우가 있을텐데요

췌장신경내분비종양

 

췌장 신경내분비종양

췌장은 침묵하는 장기라고 불리며 "위험하다"라고만 알고 있을텐데요

그이유는 몸에 증상이 없고 어느정도 이상이 생길 경우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위험한 부위이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애플 창시자 인 스티브잡스를 들수 있습니다.

바로 췌장 신경내분비종양 이었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위험하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 임상에서는 기능성과 비기능성으로 신경내분비종양을 분류

신경전달물질 및 신경내분비계 호르몬에서 발생하는 종양입니다.

호르몬을 분비하면 기능성, 호르몬 분비를 하지 않으면 비기능성으로 분류 됩니다.

기능성 신경내분비종양 비기능성 신경내분비종양
가스트린종 양성종양
이상한종  
글루카곤종  
VIP종  

 

이와 같이 명명하는데, 신경내분비종양에 WHO 명명법 및 분류를 보자면 아래와 같이 명명하고 있습니다.

WHO 2010 등급 세포분열수(미토시스) 세포증식 지수
신경내분비종양, Grade1 저등급 <2 2%이하
신경내분비종양, Grade2 중급 2-20 3~20%
신경내분비암종, Grade3, 소세표 고급 >20 >20%
신경내분비암종, Grade3, 대세표 고급 >20 >20%

 

신경내분비종양과 신경내분비암종의 기준은 위에 나와있는 기준을 토대로 보편적으로 나누게 됩니다.

WHO등급 명명법과 TNM병기 분류표를 주로 선택하여 양성과 악성을 나누는 기준이 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AJCC(미국암합동위원회)병기분류와 ENETS(유럽신경내분비종양) 병기 분류를 토대로 TNM병기분류가 이루어집니다.

 

췌장 신경내분비종양 (D37.7/D13.7) 해석

췌장 신경내분비종양에서 질병분류코드 췌장고형가유두상종양(D37.7) /내분비 췌장의 양성신생물(D13.7) 진단 코드를 받았다면,

양성종양일까? 악성종양일까?

담당의사에 소견에 따라 질병분류코드가 다르게 작성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혼돈이 오는건 사실입니다.

이부분 때문에 개인보험 청구에 대한 문의가 많이 오고, 보험사간의 분쟁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보험사의 기준은 질병분류코드를 기준으로 삼아 심사를 하기 때문에 암진단비가 나가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보험 약관상 기준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서 정한 기준에 의해 규정"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런 이유에서 암진단비에 대한 분쟁이 심한것입니다.


  • 진단서상 진단코드가 중요한것이 아니고 조직검사결과지에 따른 해석이 있어야 한다.

이 기준으로 해석하여 양성종양으로 해석하고 있는 (D37.7/D13.7) 보험사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TNM분류 참고)

미국 암 합동위원회 유럽 신경내분비 종양
T1 췌장에 국한된 종양, 2cm이하 T1 췌장에 국한된 종양, 2cm이하
T2 췌장에 국한된 종양, >2cm T2 종양은 췌장에 국한되어 있으며 크기는 
T3 종양이 췌장 너머로 확장되었음 T3 췌장에 국한된 종양
T4 종양은 복강 T4 종양이 인접한 구조물 침범
...... ........

 

댓글